밤중 수유 끊는 시기와 밤중 수유 끊는법

 

▣ 밤중 수유 끊는 시기와 밤중 수유 끊는 법

출생 후 일정 기간이 지나면 밤중 수유를 끊어야 하는데 그 이유는 밤중 수유를 할 경우 아기의 성장을 방해하고 치아건강에도 영향을 주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밤중 수유를 끊는 시기를 놓치게 되면 그때부터는 정말 밤중 수유를 끊기가 힘들어 지기에 밤중 수유를 끊는 시기와 밤중 수유를 끊는 법을 알아보고자 합니다.

썸네일 밤중수유끊는시기

밤중 수유 끊는 시기

아기는 생후 3~4개월부터 밤과 낮을 구분할 수 있고 통상적으로는 8시간 정도는 밤에 먹지 않고 버틸 수 있다고 합니다.  분유 수유를 하는 아기의 경우 생후 4~5개월부터 끊어 주시면 되고 모유 수유를 하는 아기는 생후 6개월 이후부터 끊어주시면 됩니다. 모유수유를 하는 아기와 분유 수유를 하는 아기의 시기가 다른 이유는 소화 되는 시간 때문인데 분유수유를 하는 아기보다 모유수유를 하는 아기의 소화가 훨씬 더 빠르기 때문에 아기에게 모유 수유를 하는 경우 분유 수유하는 아기보다 더 늦은 생후 6개월 이후부터 밤중 수유 끊기를 시도해주시면 됩니다. 

밤중 수유를 끊는 이유

밤중에 수유를 끊는 가장 큰 이유는 성장 호르몬 때문입니다. 성장호르몬은 심야 시간인 밤 10시~02시까지가 제일 활발하게 분비되고 그 시간에 충분히 깊은 잠을 자야 성장호르몬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 아기가 수유를 위해 자다 깨다를 반복할 경우 깊이 잠이 들지 못한 아기의 성장에 방해가 될 수 있습니다. 두 번째 이유는 이제 치아가 나기 시작하는 아기에게 충치를 유발하거나 더 나아가 영구치에도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밤중에 수유는 입안에 당분이 남아있어 유치를 썩게 만드는데 자는 도중 양치를 해줄 수 없고 침이 덜 분비되기 때문에 충치를 유발하는 원인이 됩니다. 세 번째 이유는 위장기능의 저하로 인한 소화장애가 생길 수 있는데 아기가 자는 도중에 위장기능이 저하되어 밤중 수유 시 위장에 큰 부담을 줄 수도 있습니다. 

밤중 수유 끊는 법

아기가 잠들기 전에 충분히 분유를 먹여주시거나 모유수유를 하는 게 첫 번째입니다. 잠들기 전 충분한 수유를 한 아기는 보다 오래 잠을 잘 수 있습니다. 두 번째는 충분한 수유 후 아기가 새벽에 깨었을 경우 10~20분 정도는 안고 달래주시고 아기가 배고파서 꺴다고 판단되었을 때는 조금씩 수유의 양을 줄여주시다가 나중에는 보리차로 바꿔 주시면 됩니다. 세 번째는 수면을 취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시 건데 집안의 온도와 습도, 조명 등으로 아기가 편안한 숙면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해주시는 겁니다. 마지막으로 밤중 수유를 끊는 것은 상당한 인내가 필요한데 너무 조급하게 생각하지 마시고 천천히 끊어 주시기 바라며 마음 단단히 먹고 끊어주시기 바랍니다. 새벽에 일어나 아기가 울면 정말 마음이 아프지만 아기를 위해서 꼭 성공하시길 바라겠습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