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기폐렴증상 엄마들도 알아야 합니다!

▣아기폐렴증상 엄마들도 알아야 합니다!

작년 이맘때 쯤 아기 친구 엄마가 이런 말을 한 적이 있습니다. "아기를 데리고 병원을 다녔는데 감기라는 진단으로 약을 먹었는데 나아지질 않아 다른 병원으로 옮겨서 진료를 받았더니 폐렴이라고 하더라" 처음 이런 말을 들었을 때는 큰일 날뻔했네. 병원을 잘 골라갔어야지 하는 생각을 했습니다. 그리고 최근에 제가 이런 일을 겪고 보니 "아~엄마들도 폐렴의 증상을 알아야겠네"라는 생각을 갖게 되었습니다.

아기폐렴증상 엄마들도 알아야합니다

폐렴이라고요?

토요일 오후 두아이 모두 감기 기운이 있는 것 같아 병원 진료를 봤습니다. 병원 의사 선생님 말씀이 약만 조금 먹으면 될 것 같다고 하기에 약만 받아서 먹였지요. 4일 후인 화요일 아직 기침을 조금씩 하고 콧물도 조금 나길래 병원에 갔더니 목이 조금 부었다고 하더군요. 그러려니 하고 약 처방만 받고 집에 왔습니다. 그다음 날 수요일 큰아이가 저녁부터 열이 많이 나서 다음날인 목요일 병원을 내원했습니다. 아이가 목이 심하게 부어 독감 검사를 해보자고 하더군요. 독감 검사를 하는 내내 정말 마음이 아팠습니다. 아이가 정말 많이 울었거든요. 다행히 독감은 아니라는 판정을 받고 약 처방을 받은 뒤 이틀 뒤인 토요일 같은 병원에 다른 의사 선생님께 진료를 보는데 갑자기 두 아이 모두 숨소리가 이상하다며 X-Ray 촬영을 하자고 하더군요. 촬영 결과 두 아이 모두 폐렴이라는 것입니다. 이틀 전까지 괜찮던 아이가 값지기? 정말 황당하더군요. 정확히 1.5일 만에 폐렴이라니... 이런 일을 겪고 보니 엄마들도 폐렴의 증상과 예방법 등을 알아야겠더라고요. 

 

폐렴의 증상

폐렴의 대표적인 증상은 어떤것이 있을까요?

1. 숨쉴때 쌕쌕거리는 소리와 가래가 끊는듯한 기침

일반 기관지염과 비슷하게 가래가 끊는 듯한 기침이 나고 숨소리가 뭔가 걸리는 듯한 쌕쌕하는 소리가 납니다. 감기약을 먹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증상이 나아지질 않고 기침이 심해집니다.

2. 39도 이상의 고열

39도 이상의 고열이 발생하고 해열제를 먹으면 잠시 내려왔다가 다시 올라가기를 반복하고 열이 잘 안 잡힙니다. 그리고 설사와 구토를 하기도 하고 경련이 뒤따르는 경우도 있습니다.

3. 식욕부진

아이가 잘 먹지를 못합니다. 아이가 평소에 좋아하던 음식도 잘먹지 않고 밥은 물론 유아기의 분유도 잘 먹지 않습니다. 아이가 너무 아파서 그런가 하는 생각도 들지만 폐렴 증상 중에 하나라고 하니 참고하시면 좋을 듯합니다.

4. 입술이나 손톱이 푸르스름 해진다.

극도로 증상이 심해지면 입술이나 손톱이 푸르스름 해진다고 합니다. 저희 아이의 경우는 해당되진 않았지만 참고하면 좋을 것 같아 작성해봅니다. 

 

폐렴의 예방법

폐렴은 합병증이 더 위험한 병입니다. 초기 발견해서 잡지 못한다면 폐혈증 등의 합병증에 걸릴 수도 있으니 초기 증상을 숙지하고 병원에 내원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물론 예방이 제일 중요하겠죠?

1. 마스크 생활화

폐렴은 다른 환자의 가래나 침, 콧물 등으로 세균을 증식하는데 이 세균이 폐로 유입되어 염증을 유발하는 전염성 바이러스입니다. 특히 환절기 감기에 걸리기 쉬운 계절/어린이집 유치원 등 사람이 많이 모이는 장소일수록 마스크 착용을 생활화하는 것이 좋습니다. 

2. 손 씻기

우리 몸에서 가장 세균이 많은 신체부위는 바로 손입니다. 손은 우리 아이가 가장 많이 사용하는 신체 중 하나인데 음식을 섭취하기 위해서 또는 장난감을 가지고 놀기 위해서 등 특히 손을 빠는 아이의 경우 더욱 손 씻기를 생활화 해야합니다. 부모님도 손씻기 생활화는 당연한 거 아시죠?

3. 청결한 환경

집안의 환경을 청결하게 유지해주세요. 아기가 가지고 노는 장난감도 정기적으로 소독해주는 것이 좋고 침구류 등도 청결을 유지하는 것이 제일 좋은 예방법 중에 하나입니다.

4. 공용으로 쓰지 마세요.

아이가 사용하는 식기나 수건 등은 따로 준비해 주세요. 특히 부모 중 흡연을 하시는 분이 계 신경우에는 더욱 신경 써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대부분의 폐렴은 통원치료가 가능한데 고열이나 탈수 증상 또는 호흡곤란 증상이 있거나 폐혈증이 의심되는 경우, 지속적인 구토로 음식물의 섭취가 불가능한 경우에는 입원 치료를 해야 한다고 합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