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동비율계산법 및 자기자본이익률 계산법
- 국내주식공부
- 2021. 12. 7. 07:30
주식투자 관련 공부를 하다 보면 필수적인 공부가 재무제표 관련 공부라고 생각합니다. 내가 투자하고자 하는 기업의 업종과 사업내용은 무엇이고 재무는 안전한지 또는 수익성과 성장 가능성은 어떠한지를 알아보고 투자에 임해야 하는데요
투자의 거장들도 재무제표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자기 자본 이익률과 유동비율을 빼놓지 않고 이야기를 하곤 합니다. 오늘은 유동비율과 자기 자본 이익률은 어떻게 계산하는지를 알아보고 전자공시를 통하여 확인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유동비율계산법 및 자기자본이익률 계산법
Contents 1. 유동비율과 자기자본이익률 2. 유동비율 계산법 3. 자기자본이익률 계산법 |
1. 유동비율과 자기자본이익률
우리가 쉽게 접할 수 있는 증권 사이트와 네이버 등에서 자기자본이익률과 유동비율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네이버를 예를 들면 네이버 증권에 접속하셔서 종목분석의 투자지표에 접속하시면 ROE(자기자본이익률)와 유동비율을 친절하게 계산해 놓았습니다.
하지만 사업보고서 발행 이후 최신화될 때까지 어느 정도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빠른 정보를 필요로 하는 투자자에게는 직접 계산하는 방법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유동비율이란 회사의 지불능력을 판단하기 위한 분석지표로 비율이 높을수록 지불능력 또한 커집니다. 평균 200% 이상의 유동비율을 유지하고 있다면 이상적인 비율을 유지한다고 봅니다. 다만 유동성이 필요 이상으로 큰 경우에는 다른 투자로 인한 수익의 기회가 상실되고 있다고 판단하는 것이 좋습니다.
자기자본이익률이란 Return On Equity(ROE)로 표기되며, 투자 자본 대비 어느 정도의 수익을 올리고 있는가를 나타내는 수익성 지표 중 하나로 레버리지 효과를 통해 높은 이익률을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부채비율과 함께 분석해야 하는 지표입니다.
빠르게 확인할 수 있는 방법으로는 전자공시 dart를 확인하여 직접 계산하는 방법인데요. 가장 좋은 것은 최근 분기만 확인해 볼 것이 아니라 지난 분기 대비 어느 정도인지 또는 5년 치 재무제표를 확인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입니다.
2. 유동비율 계산법
- 유동비율(%) = 유동자산/유동부채 x 100
전자공시 dart를 통하여 사업보고서 또는 분기보고서를 확인해보시면 연결재무상태표를 쉽게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재무상태표에 표기된 유동자산과 유동부채를 확인해줍니다.
전자공시 DART에서 재무상태표를 모아 엑셀로 변경하여 관리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차트를 활용하여 유동비율의 증가율 등 기타 비율을 확인하기에 굉장히 좋습니다.
위의 재무상태표는 GST의 3분기 분기보고서입니다. 분기보고서상의 유동자산과 유동부채는 각각 1,335억 원, 472억 원입니다. 공식을 대입하여 계산해보면 282.8%로 이상적인 유동비율을 보유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1,335억 원 / 472억 원 x100 = 282.8%
3. 자기자본이익률 계산법
- 자기 자본 이익률(%) = 당기순이익/자본총계 x 100
자기자본이익률을 계산할 때는 보통 직전년도 자본총계를 활용하여 계산합니다. 네이버 증권 등 증권사별로 상이한 부분이있는데 자기자본이익률을 계산하는 방식은 위의 방식 이외에도 있기 때문에 그런 것입니다. 예를 들면 지배주주 분만 활용해서 ROE를 계산하거나 4분기 평균값으로 계산, 현재 자본총계로 확인하는 등 다양하기 때문에 본인의 판단으로 계산식을 활용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저의 경우 연초의 자본총계를 확인하여 ROE를 산정합니다. 마찬가지로 GST의 3분기 재무상태표를 활용하여 연결 포괄손익계산서의 당기순이익을 확인해보면 누적 310억 원을 기록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음 연결 자본변동표를 확인하여 연초의 자본총계를 확인하여 줍니다. 당기순이익을 누적으로 확인했듯이 1.1일 기준 자본으로 현재까지의 이익률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310억 원 / 1,137억 원 X 100 = 27.2%
다만 주의해야 할 점은 당기순이익은 3분기를 기점으로 산출되어 있고 자본금은 연초의 자본금이기 때문에 분기 실적이 발표될 때마다 ROE는 당기순이익에 따라 증가 및 감소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정확한 ROE를 산정하기 위해서는 1년간의 ROE보다 최소 5년간의 ROE를 산출하여 평균치와 비교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다른 기업 포스팅
2021.12.06 - [국내주식공부/반도체,자동화] - GST(083450)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가스정화장비 관련주
2021.12.03 - [국내주식공부] - 부채비율 계산법, 공시에서 확인하고 잠식률도 계산해보자
2021.11.28 - [국내주식공부/기타] - 코웰패션(033290) 패션 업황의 회복 의류 관련주
'국내주식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모주청약일정 및 정보 확인방법 (2) | 2021.12.19 |
---|---|
부채비율 계산법, 공시에서 확인하고 잠식률도 계산해보자 (0) | 2021.12.03 |
만원으로 자본소득 만들기 미국주식 사자(미니스탁,신한알파) (2) | 2021.10.25 |
재무제표 보는 법(ROE, EPS, 매출액증가율, 영업이익률 등) (0) | 2021.10.23 |
미국주식 12월 배당일 및 캘린더 (2) | 2021.10.08 |
이 글을 공유하기